Long-lost ocean worms photobomb tiny seahorses, surprising scientists

Sign up for CNN’s Wonder Theory science newsletter.
CNN의 Wonder Theory 과학 뉴스레터를 구독하세요.
Explore the universe with news on fascinating discoveries, scientific advancements and more.
매혹적인 발견, 과학적 발전 등에 대한 뉴스로 우주를 탐험하세요.
A species of marine worm that scientists lost sight of for almost 70 years has finally resurfaced, thanks to some eagle-eyed sleuthing and a seahorse less than an inch long.
과학자들이 거의 70년 동안 시력을 잃고 있던 한 종의 해양 벌레가 매의 눈을 가진 탐사와 길이가 1인치도 안 되는 해마 덕분에 마침내 다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When researchers analyzed images of tiny seahorses taken by scuba divers, they found evidence of photobombing worms in the hundreds, living alongside the seahorses in coral colonies from Japan to Australia.
연구자들이 스쿠버 다이버들이 촬영한 작은 해마의 이미지를 분석했을 때, 그들은 일본에서 호주에 이르기까지 산호 군락지에서 해마와 함께 살고 있는 수백 마리의 광폭격 벌레의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The long-lost worm is Haplosyllis anthogorgicola, a species of bristle worm, or polychaete.
오랫동안 잃어버린 벌레는 Haplosyllis anthogorgicola, 강모 벌레 또는 polychaete의 종입니다.
It typically measures no more than 0.24 inches (6 millimeters), and it burrows inside branching gorgonian corals at a density of up to 15 worms per cubic centimeter.
일반적으로 크기는 0.24인치(6mm)를 넘지 않으며 입방 센티미터당 최대 15마리의 지렁이 밀도로 분기되는 고르고니아 산호 내부에 굴을 파고 있습니다.
But the creature hasn’t been directly observed in the wild since 1956, when Kyoto University marine biologist Huzio Utinomo first identified it, scientists reported Wednesday in the journal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그러나 이 생물은 1956년 교토 대학의 해양 생물학자 후지오 우티노모(Huzio Utinomo)가 처음으로 확인한 이래로 야생에서 직접 관찰되지 않았다고 과학자들은 수요일 왕립 학회 회보 B: 생물학(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에 보고했다.
Related article ‘Mystery mollusk’ found in the ocean’s midnight zone is unlike anything researchers have seen before Finding these worms is extremely challenging because their small size and near transparency make them almost impossible to see underwater, said lead study author Chloé Fourreau, a doctoral student in the Molecular Invertebrate Systematics and Ecology, or MISE, Laboratory at the University of the Ryukyus in Okinawa, Japan.
관련 기사 바다의 한밤중에서 발견되는 '미스터리 연체동물'은 연구자들이 이전에 본 적이 없는 것과는 다르다 이 벌레를 찾는 것은 크기가 작고 투명도가 거의 없어 수중에서 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어렵다고 오키나와 류큐 대학의 분자 무척추동물 계통학 및 생태학(MISE) 실험실의 박사 과정 학생인 수석 연구 저자 클로에 푸로(Chloé Fourreau)는 말했다. 일본.
“I love that this paper crowdsources imaging from the public to learn more about where and how these animals occur and what they are doing,” said Karen Osborn, a researcher and curator in the department of invertebrate zoology at the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Washington, DC.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무척추 동물학과 연구원이자 큐레이터인 카렌 오스본(Karen Osborn)은 "이 동물이 어디서 어떻게 발생하고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더 많이 배우기 위해 대중의 이미지를 크라우드소싱하는 것이 마음에 든다"고 말했습니다.
With about 10,000 named species of bristle worms and perhaps twice that number yet to be discovered, there are many open questions about polychaete biology, interactions with other species, “and the impacts they have on the areas they inhabit,” said Osborn, who was not involved in the study, in an email.
약 10,000 종의 강모 벌레가 명명되었고 아마도 그 두 배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모류 생물학, 다른 종과의 상호 작용, "그리고 그들이 서식하는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열린 질문이 있다고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Osborn은 이메일에서 말했습니다.
“This paper beautifully shows how they are just below our noses, but virtually unnoticed.” Study coauthor Ai Takahata, an undergraduate student at MISE and Forreau’s lab partner, was researching the camouflage of pygmy seahorses (Hippocampus bargibanti) when she unexpectedly found several H.
"이 논문은 그들이 우리 코 바로 아래에 있지만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는 것을 아름답게 보여줍니다." 연구 공동 저자인 MISE의 학부생이자 Forreau의 실험실 파트너인 Ai Takahata는 피그미 해마(Hippocampus bargibanti)의 위장을 연구하던 중 예기치 않게 여러 개의 H를 발견했습니다.
anthogorgicola worms in coral samples collected in waters near Japan.
일본 인근 해역에서 수집된 산호 샘플에 있는 anthogorgicola 벌레.
“When she cut a branch of the coral, she noticed some worms came out of it,” Forreau said.
"그녀가 산호의 가지를 자릅니다, 그녀는 그것에서 몇 마리의 벌레가 나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라고 Forreau는 말했습니다.
“She gave them to me as she knew I was interested in polychaetes, but prior to looking at the worms, I didn’t even know about this species.” Related article Oceanographers find underwater mountain bigger than Mount Olympus Forreau suspected that pygmy seahorses’ gorgonian coral colonies might yield more of the worms, she told CNN.
"그녀는 내가 다류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나에게 그것들을 줬지만, 벌레를 보기 전에는 이 종에 대해 알지도 못했습니다." 관련 기사 올림푸스 산보다 더 큰 수중 산을 발견한 해양학자들은 피그미 해마의 고르곤 산호 군락이 더 많은 벌레를 산출할 수 있다고 의심했다고 CNN에 말했다.
In 2023, during an unrelated survey in southern Sukumo Bay in Kochi, Japan, she asked the boat captain to make a detour to sample corals, and she found H.
2023년, 일본 고치현 남부 스쿠모만에서 관련 없는 조사를 하던 중, 그녀는 보트 선장에게 산호를 채취하기 위해 우회로를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고, 그녀는 H를 발견했다.
anthogorgicola bristle worms inside them.
anthogorgicola 강모 벌레가 들어 있습니다.
But as Forreau was sorting her underwater photos of seahorses and corals, she made another unexpected discovery: The worms’ coral burrows were visible in the images.
그러나 Forreau는 해마와 산호의 수중 사진을 분류하면서 또 다른 예상치 못한 발견을 했습니다. 그것은 지렁이의 산호 굴이 이미지에서 보인다는 것입니다.
Perhaps, she thought, that might also be the case in other photos of pygmy seahorses.
어쩌면 그것은 피그미 해마의 다른 사진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그녀는 생각했다.
She and her study coauthors turned to iNaturalist, a website where people share nature images and information on biodiversity, to find photos of pygmy seahorses (and possibly of their worm neighbors, too).
그녀와 그녀의 연구 공동 저자들은 사람들이 자연 이미지와 생물 다양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웹사이트인 iNaturalist를 사용하여 피그미 해마(그리고 아마도 그들의 지렁이 이웃의 사진)를 찾았습니다.
Because pygmy seahorses are so small — about 1 inch (2.5 centimeters) long — divers tend to photograph them in extreme close-ups, which include detailed views of nearby corals.
피그미 해마는 길이가 약 1인치(2.5cm)로 너무 작기 때문에 다이버들은 근처의 산호초를 자세히 보는 것을 포함하여 극단적인 클로즈업으로 사진을 찍는 경향이 있습니다.
On iNaturalist, 489 photos of the seahorses also included evidence of worms, the researchers reported.
아이내추럴리스트(iNaturalist)에 올라온 489장의 해마 사진에는 벌레의 흔적도 포함되어 있었다고 연구진은 보고했다.
Images of pygmy seahorses taken by scuba divers were crawling with worm photobombs.
스쿠버 다이버들이 촬영한 피그미 해마의 이미지에는 벌레 사진 폭탄이 기어 다니고 있었습니다.
Worms’ limbs, heads and tails poked out of coral burrows in the hundreds; the scientists even counted seven examples of worms crawling on seahorses’ bodies.
지렁이의 팔다리, 머리, 꼬리는 수백 개씩 산호 굴에서 튀어나왔다. 과학자들은 심지어 해마의 몸에 기어 다니는 벌레의 예를 7가지 세었다.
Worms’ tunnels snaked through coral branches and into polyps, and approximately 84 percent of the photographed corals were hosting worm infestations, the researchers estimated.
지렁이의 터널은 산호 가지를 통해 폴립으로 구불구불하게 뻗어 있으며, 촬영된 산호의 약 84%가 지렁이 감염을 숙주로 삼고 있었다고 연구진은 추정했다.
Prior to this study, very little was known about H.
이 연구 이전에는 H에 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습니다.
anthogorgicola’s range and habits; piecing together the lifestyles of hard-to-find animals is especially challenging when published research about them is nearly nonexistent, Forreau said.
anthogorgicola의 범위와 습관; 찾기 어려운 동물들의 생활 방식을 하나로 묶는 것은 그들에 대한 발표된 연구가 거의 존재하지 않을 때 특히 어렵다고 Forreau는 말했습니다.
“But our paper shows that we can repurpose the large information available on better known species to learn about understudied ones like worms,” Forreau added in an email.
"그러나 우리의 논문은 우리가 더 잘 알려진 종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벌레와 같이 연구가 덜 된 종에 대해 배우기 위해 용도를 변경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라고 Forreau는 이메일에서 덧붙였습니다.
GPS coordinates on the iNaturalist photos expand the worms’ potential distribution much farther to the south than previously thought, encompassing Australia, East Timor, Indonesia, Japan, Malaysia, New Caledonia, Papua New Guinea, the Philippines and Taiwan, according to the study.
연구에 따르면 아이내추럴리스트 사진의 GPS 좌표는 호주,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일본, 말레이시아, 뉴칼레도니아,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대만을 포함하여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남쪽으로 지렁이의 잠재적 분포를 확장했다.
Utinomo’s 1956 paper linked the worms to just one coral species — Anthogorgia bocki — but analysis of the photos suggests that these worms inhabit other corals in the genus.
우티노모(Utinomo)의 1956년 논문은 이 지렁이를 단 하나의 산호 종(Anthogorgia bocki)과 연관시켰지만, 사진을 분석한 결과 이 지렁이는 속의 다른 산호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The images also provided the first evidence of the worms interacting directly with seahorses.
이 이미지들은 또한 지렁이가 해마와 직접 상호 작용한다는 첫 번째 증거를 제공했다.
Polychaetes live in diverse habitats “including polar ice, methane seeps and deep-sea hydrothermal vents, the spaces between corals, and the vast open ocean,” Osborn said.
Polychaetes는 "극지방의 얼음, 메탄 누출 및 심해 열수 분출구, 산호 사이의 공간, 광활한 바다를 포함하여"다양한 서식지에 살고 있다고 Osborn은 말했습니다.
“They are critical to food webs and build habitat for other animals.” The iNaturalist photos answered some long-standing questions about H.
"그들은 먹이 그물과 다른 동물의 서식지를 만드는 데 중요합니다." iNaturalist 사진은 H에 대한 몇 가지 오래된 질문에 답했습니다.
anthogorgicola’s lifestyle and habits, Forreau added.
anthogorgicola의 생활 방식과 습관에 대해 Forreau는 덧붙였습니다.
Related article Scientists make surprise discovery of life in the seafloor’s ‘underworld’ “They confirm that the worms are highly reliant on their burrows; most of their time is spent inside,” she said.
관련 기사 : 과학자들은 해저의 '지하 세계'에서 생명을 놀랍게 발견합니다. "그들은 벌레가 굴에 매우 의존한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낸다"고 말했다.
In many of the images, the only visible part of a worm was its antennae and other trailing appendages poking out of the tunnel.
많은 이미지에서 지렁이의 유일한 보이는 부분은 더듬이와 터널 밖으로 튀어나온 다른 후행 부속지였습니다.
“This position suggests that worms spend a lot of time sensing their environment around them, perhaps waiting for something to eat in the water, or to detect the coral polyp’s movement to steal its food.” However, many of the burrows were not close to polyps, hinting that the worms could be coral cleaners rather than food thieves.
"이 위치는 벌레가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아마도 물속에서 무언가를 먹기를 기다리거나 먹이를 훔치려는 산호 폴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시간을 할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굴이 폴립에 가깝지 않았으며, 이는 지렁이가 음식 도둑이 아니라 산호 청소원일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There is still much to be learn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ms and the corals where they live,” Forreau said.
"지렁이와 그들이 살고 있는 산호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직도 배워야 할 것이 많다"고 포로는 말했다.
Mindy Weisberger is a science writer and media producer whose work has appeared in Live Science, Scientific American and How It Works magazine.
민디 와이스버거(Mindy Weisberger)는 과학 저술가이자 미디어 프로듀서로, 라이브 사이언스(Live Science),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 하우 잇 워크(How It Works) 매거진에 작품을 기고한 바 있습니다.